업비트·빗썸, 계엄일 전산장애 35억 배상

강현정 기자 / 기사승인 : 2025-01-22 13:27:00
  • -
  • +
  • 인쇄
금감원, 현장점검 실시
김현정 의원 “신뢰할 수 있는 가상자산 생태계 조성해야”

 

[일요주간 = 강현정 기자] 비상계엄 사태 당일 발생한 가상자산거래소 전산장애와 관련해 업비트와 빗썸이 투자자들에게 35억원 넘는 배상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22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과 가상자산거래소 5곳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위 업비트(두나무)는 지난해 비상계엄과 관련해 배상신청 596건에 31억4459만8156원을 배상하기로 결정했다.

빗썸도 투자자 124명에게 3억7753만3687원을 배상하기로 했다. 두 거래소의 배상액은 총 35억2213만원으로 가상자산거래소 사상 최대 배상금이다.

업비트와 빗썸은 투자자와 배상 협의를 마무리 중인 단계로, 협의가 완료되면 배상액은 소폭 늘어날 수 있다. 반면 코인원, 코빗, 고팍스 등은 해당 사항이 없었다.

작년 12월 3일 오후 10시 이후부터 자정 넘어서까지 업비트는 99분, 빗썸은 62분, 코인원은 40분씩 접속이 지연됐다.

동시 접속자 수가 평상시 5만~10만명에서 비상계엄 직후 50만~110만명으로 10배 폭증하면서, 거래소들의 시스템 가용능력을 초과했다.

이와 관련 금융당국은 지난달에 이어 지난 20일부터 가상자산거래소 현장점검에 다시 나섰다.

금융감독원은 계엄 사태 이후 거래소들로부터 서버 증설, 클라우드 전환, 비상대응계획(BCP) 개선 등 향후 대책을 보고 받았는데, 이러한 대책이 잘 이행 중인지 살펴본다는 차원에서다.

김현정 의원은 “가상자산 투자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여전히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제도적 기반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금융당국과 거래소는 전산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서버 증설과 비상대응계획 개선 등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가상자산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현정 기자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