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농협은행, KCGS 지배구조평가 5년 연속 A등급…투명경영 재확인

김완재 기자 / 기사승인 : 2025-11-19 14:10:06
  • -
  • +
  • 인쇄
이사회 중심 ESG경영 강화 성과…농협은행, 지배구조 최우수 금융사로
지배구조·리스크관리·윤리경영 공개 강화…NH농협은행 연속 최고등급
비상장 금융사 중 상위권 유지…농협은행 ESG 지배구조 경쟁력 입증
▲ NH농협은행 ‘금융회사 지배구조평가’에서 5년 연속 A등급을 획득했다. (사진=농협 제공)

 

[일요주간 = 김완재 기자] NH농협은행(은행장 강태영)이 한국ESG기준원(KCGS)의 ‘2025 금융회사 지배구조평가’에서 5년 연속 A등급을 획득하며 투명한 지배구조 운영 역량을 다시 입증했다.

 

19일 NH농협은행에 따르면 한국ESG기준원이 금융회사 120개사(상장 54개사, 비상장 66개사)를 대상으로 지배구조평가 실시했다.

 

한국ESG기준원은 평가받는 기업의 지속가능 경영수준을 점검하고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매년 국내 상장기업의 환경, 사회, 지배구조 세 가지 부문을 평가해 등급을 공개하고 있으며 비상장 금융회사에 대해서는 지배구조 부문만을 평가해 발표하고 있다.

NH농협은행은 최고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에 ESG 중대성을 토대로 ESG성과 및 전략을 보고하고 있으며 이사회에서 검토한 내용을 ESG전략에 반영하고 있다. 또한 지배구조 및 보수체계 연차보고서를 통해 이사회 구성의 독립성 및 전문성, 감사위원회의 독립적인 역할, 기후리스크를 포함한 전반적인 리스크 관리체계, 윤리경영을 포함한 내부통제, 임직원 보수체계 등의 전반적인 이사회 운영현황 등을 상세하고 투명하게 공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이 5년 연속 A등급 성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강태영 은행장은 “금차 평가결과는 NH농협은행이 투명하고 책임있는 지배구조를 운영해온 결과”라며 “지배구조뿐만 아니라, 환경 및 사회분야에서도 ESG경영을 투명하게 실천하여 지속적으로 고객과 지역사회로부터 신뢰받고 사랑받는 은행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NH농협은행, KISA 블록체인 확산사업 성과로 정부 표창 수상2025.11.05
NH농협은행, 광주 다육식물 농가 일손돕기…농심천심으로 농촌 지원 강화2025.11.06
상주시, NH농협은행 상주시지부와 외국인 계절근로자 금융지원 업무협약 체결2025.11.06
NH농협은행 농업·공공금융부문, 일손 부족 농가 위해 현장 지원 나서2025.11.12
NH농협은행, 블록체인·스테이블코인 기반 디지털 부가세 환급 시범사업 추진2025.11.13
NH농협은행, 「제12회 자랑스런 농식품기업賞」 시상식 개최…우수 농식품기업 10곳 선정2025.11.13
NH농협은행, 보안 강화 ‘NH인증서’ 발급 고객 대상 대규모 경품 이벤트 진행2025.11.14
NH농협은행, 블랙프라이데이 올원·NH직장인대출 고객 네이버페이 3만원 이벤트2025.11.14
NH농협은행, 기업금융 완전 비대면 'The Quicker' 출시…디지털 혁신 가속2025.11.17
NH농협은행, NH포인트 기부하면 ‘1004의 행운’…로보락·다이슨 청소기와 포인트 대박 혜택2025.11.17
NH농협은행, 생산적·포용금융 강화 선언...중기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사업 참여2025.11.17
NH농협은행, 전주 T&T 방문 ‘찾아가는 관세 컨설팅’ 실시…중소기업 미국 수출 지원2025.11.18
NH농협은행, KCGS 지배구조평가 5년 연속 A등급…투명경영 재확인2025.11.19
NH농협은행, 소상공인 금융지원 강화 위해 신보중앙회와 협약 체결2025.11.19
NH농협은행, 금융권 최초 마이데이터 대면 서비스 출시로 포용금융 강화2025.11.19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