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주간= 이 원 기자] 지난 15일(주)PSMC(구 풍산마이크로텍) 정리해고 철회 농성 500일을 맞이했다. 전신인 풍산마이크로텍은 반도체생산기업으로 지난 한진중공업 정리해고 사태가 자리를 잡던 2011년, 생산진 노동자 58명에 대한 정리해고를 단행했다. 이에 민주노총 부산본부와 금속노조 풍산마이크로텍지회는 정리해고자 58명에 대한 철회 농성을 이어왔다. 사측이 정리해고의 이유로 내세운 것이 ‘경영악화’라지만 허위공시는 물론 투기자본에 회사를 매각한 사측의 악락한 행위에 지방노동위원회도 풍산마이크로텍의 손을 들어줬다. 이렇듯 노사 간 갈등이 격화되는 시점에서 사측 고위간부가 70억 대 주식을 횡령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노조는 지난 13일 이날 사측의 경영 정상화 의지가 의심스럽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정리해고 58명 복직 투쟁 500일. 절대 중단은 없다”
13일 금속노조 부산양산지부와 풍산마이크로텍은 부산시청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살인과 같은 정리해고가 500일을 맞았다”며“그들이 복직하는 그날까지 절대 중단은 없다”며 단호한 입장을 내놨다. 이와 함께 박근혜 정부는 노동자들의 부당한 고통을 중단시키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라고 외쳤다.
풍산마이크로텍은 지난 1985년 리드프레임 사업을 시작해 비철금속 중 동(銅)사업을 주력으로 해온 풍산그룹의 계열사로 그룹 내 반도체 부품산업을 맡아왔다.
지난 2010년 사내 주식의 절반이상을 노동자들에게 내린 연월차 휴가 기간 동안 노동지회와의 협의 나 사전 통보도 없이 하이디스(30.97%)와 유카INT(19.1%), 드벡(7.16%)에 몰래 매각작업을 단행했고 이후 최대주주가 된 하이디스가 회사 명칭을 ‘PSMC’로 전환했다.
휴가를 다녀오니 회사 이름이 변경된 것. 노동자들이 당황했던 부분은 이뿐만이 아니었다. 이후 단행된 것은 ‘경영악화’를 내세운 구조조정. 사측은 구조조정으로 생산직 근로자의 30%에 달하는 58명의 노동자를 사측 밖으로 내몰았다. 회사를 인수했던 회사들은 고용승계 등을 약속했지만 그들 앞에 놓인 것은 정리해고 통보였다.
그러나 문제가 드러난 것은 그 이듬해. 경영 악화를 내세웠던 사측에 금융감독원은 ‘자기주식 허위계상’을 들어 ‘담당임원 해임권고 및 검찰 통보’의 내용을 전달했다.
하지만 그 시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허위공시가 드러난 시기인 2011년 3분기는 당시 정리해고 기간과 맞물려 실제로 외부 자본을 유입해 10억여 원의 유상증자까지 한 회사가 정리해고를 한 부분은 부당해고가 마땅하다는 게 해고자들의 주장이다.
이에 부당 해고된 노동자들은 부산지방노동위원회와 중앙노동위원회에 입장을 전달했고 부산지방노동위원회는 ‘부당 해고’라며 복직판정을 내렸다. 하지만 사측은 중앙노동위 측에 재심을 신청했고, 중앙노동위 일부 22명에 대해서면 부당해고 판결을 내렸다. 결국 불복한 양측의 입장에 따라 행정 소송은 아직 진행 중 이다.

허위공시·투기자본 회사 매각·고위간부 70억 횡령까지
금감원이 전달한 ‘자기주식 허위계상’은 지난 2011년에서 이듬해로 회계처리가 이월되면서 100억 원 대의 ‘허위계상’이 드러났다. 회계감사를 맡은 회계팀이 변경되면서 드러난 이들의 행각은 간부 A씨가 70억 원 대에 달하는 자사 주식을 처분하고 잠적한 것까지 확인되면서 문제가 극에 달했다.
이날 노조가 밝힌 자료에 따르면 A씨는 최대주주인 ㈜하이디스가 풍산마이크로텍을 인수하면서 입사했으며 사측은 A씨에 자금 조달해달라며 자사주 456만 주를 맡겼다. 이후 A씨는 해당 주식을 담보로 17억5,000만원의 자금을 차입했으나 회계감사 결과 담보물인 자사수는 이미 매각했고 현재 A씨는 잠적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사측은 A씨와 그에게 자금을 차입해준 회계사 B씨를 사기혐의로 고소했다. 사측 역시 믿었던 사람들에게 배신당했다는 입장을 드러내고 있지만 노조 측은 물론 해고자들은 부당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노조 측 관계자는 “악질자본가가 회사의 이익이 아니라 자신의 배를 채우기에 급급한 파렴치한 행위를 일삼고 있다”면서 “부당해고가 살인과 다를 게 뭐가 있냐”고 반문했다.
이어 부당해고를 일부 인정하지 않은 중노위에 “새로운 정부가 내세운 민생정치에 부합하는 결정을 내려달라”면서 “해고자 전원 복직이 실현될 수 있도록 앞장서 달라”고 당부했다.
앞서 지난해 8월 사측과 정리해고 즉시 철회에 합의했던 노조는 이후 임금단체협상 과정에서 사측이 무리한 기본급 삭감(15%) 및 상여금 지급 철회(200%), 순환휴직 20%를 추가로 제시해 합의점에 도달하지 못한 채 결렬된 바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