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설 마비 사태 등 안전한 공항운영 위해 인천공항공사의 책임 있는 대책 필요"
![]() |
▲ 3일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4단계 확장구역 입국장이 운영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공항 4단계 확장 사업을 마치고 이날부터 2터미널 확장구역 운영을 시작했다. 4단계 확장 사업은 2017년부터 4.8조원을 투입해 제4활주로와 계류장 75개소를 신설하고 2터미널 구역을 대폭 확장한 사업이다. (사진=newsis) |
[일요주간=임태경 기자] 지난 3일부터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확장구간의 공식 운영이 현장인력증원 없이 시작돼 논란이 일고 있다. 12월 연말 성수기와 4단계 정식 운영으로 공항 이용객들이 점점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비상사태 대책이나 안전사고 등을 우려한 현장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3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인천공항지역지부(지부장 정안석, 이하 인천공항지역지부)는 “연말 성수기가 다가오며 가뜩이나 업무 강도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와중에 4단계 공식 운영까지 겹친 현장에서는 승객들이 안전한 공항 이용을 담보하지 못할까 걱정하고 있다”며 “이미 11월 말 폭설 사태로 인천공항이 마비됐을 때 인천공항공사는 비상사태에 대한 대책이 없었음을 여실히 드러냈다. 그동안 사태를 수습하고 승객들을 돌본 건 1만 자회사 노동자들이었다”고 밝혔다.
앞서 인천공항공사(사장 이학재)는 공식 운영을 앞둔 지난달 29일 국토부장관과 유관기관, 업체, 언론사들을 초청해 대규모 개장행사를 열었다.
◇ 인천공항지역지부 “4단계 확장 대비한 현장인력충원 계획 공문 수차례 보냈으나 인천공항공사 무대응으로 일관”
인천공항지역지부는 “인천공항공사는 해당 행사에서 4단계 건설사업의 규모를 알기 쉽게 표현하려고 면적 축구장 312개, 철골 사용량 에펠탑 9.5개, 콘크리트 사용량 레미콘 47만 대 등 여러 예시를 들었다”며 “그러나 공식 운영일 기준(12월 3일) 늘어난 시설 규모에 따라 추가로 투입된 현장 인력은 0명이다”고 지적했다.
이어 “4단계 필요 인력 증원 없이는 공항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안전을 장담할 수 없기에 인천공항공사는 끝내 노동자·시민의 안전을 지킬 골든타임을 놓친 셈이다”며 “올해 초부터 인천공항공사에 노동자·시민 안전을 위한 골든타임을 지켜야 한다는 의견과 함께 4단계 확장에 대비한 현장인력충원 계획을 묻는 공문을 수차례 보냈으나 인천공항공사는 단 한 차례도 회신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에 인천공항지역지부는 4단계 필요인력 현장조사단을 출범시켜 5월부터 자체 조사에 나섰고 해당 조사 결과를 토대로 인력충원을 요구하며 7월과 8월에 걸쳐 2차례 경고 파업을 진행했었다.
인천공항지역지부는 당시 투쟁의 결과로 인천공항공사의 3개 자회사(인천공항시설관리(주), 인천공항운영서비스(주), 인천국제공항보안(주))는 9월 1135명 규모의 인력 충원계획을 제시했다.
이와 관련해 지난 10월 국정감사에서 4단계 인력충원에 대한 질의가 이어지자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4단계 확장으로 늘어나는 업무량에 따라 합리적 규모로 인력증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학재 인천공항공사 사장도 “인천공항이 지금 위치에 있기까지 자회사 역할이 컸다”고 인정하고 “자회사에 소홀함이 없도록 하겠다”고 국감에서 말했다.
인천공항지역지부는 “그러나 국정감사 기간에 진행된 인천국제공항공사 내부 심의위원회는 4단계 필요인력을 기존 1135명에서 236명으로 삭감했다”며 “4단계 공식 운영이 시작되는 오늘(3일) 필요인력은 단 1명도 투입되지 않았다”고 일갈했다.
이어 “인천공항공사는 4단계 필요인력이 한 명도 충원되지 않은 상황에서 4단계 오픈을 자화자찬하고 있는 셈이다”며 “국정감사를 통해 드러난 인천공항공사의 ‘위탁운영 구조개선 및 자회사 경쟁력 강화방안’ 연구용역 보고서는 자회사 인력이 증원되면 파업 인력이 늘어날 것이라고 진단하며 노동조합이 공항 운영의 리스크이기 때문에 3개 자회사를 6개로 쪼개고 환경미화 등 일부 사업을 다시 민간위탁으로 외주화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4단계 확장에 따른 필요인력 충원 없는 오픈에 각계각층의 우려 섞인 목소리에도 불구하고 국정감사 지적사항까지 무시하며 필요인력을 삭감한 이유를 문제의 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며 “노동자·시민의 안전을 우려하며 4단계 인력충원을 요구해 온 노동조합이 인천공항의 리스크인지 아무런 대비도 하지 않고 외주화만 생각하는 인천공항공사가 리스크인지 인천공항공사에 되묻고 싶다”고 꼬집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