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재해 기록 확산, 안전문화 정착 성과
![]() |
▲ 조폐공사, CEO 주재 ‘긴급 안전 점검회의’ (사진=조폐공사) |
[일요주간=김영란 기자] 한국조폐공사(사장 성창훈)는 16일 충남 부여 제지본부 대회의실에서 CEO 주재 ‘긴급 안전 점검회의’를 열고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종합 대책을 집중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부사장, 각 사업장 본부장, 자회사 대표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주요 안건으로는 ▲중대재해 예방 종합관리 대책 ▲유해·위험 요인 파악 및 개선 현황 ▲고위험 작업장 사고 예방 방안 등이 다뤄졌다. 아울러 고용노동부의 ‘안전한 일터 만들기 프로젝트’ 이행 상황을 점검하며, 정부의 긴급 안전관리 강화 요청에 대한 공사의 대응 실적도 확인했다.
성창훈 사장은 “정부가 국민과 근로자의 안전 보장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는 만큼, 우리도 실질적인 중대재해 예방 조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제지본부처럼 장치산업 특성상 위험도가 높은 현장에서는 상시적인 예방조치와 점검이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며 고위험 사업장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를 지시했다.
회의에서는 제지본부의 선제적 조치 사례도 공유됐다. 중량물 취급 설비(크레인·지게차 등) 안전장치 점검과 적재하중 준수 관리로 현장 위험요인이 크게 줄었으며, 제지본부는 2023년 무재해 1배수 달성에 이어 2배수를 목표로 하고 있다. 화폐본부는 2022년 6월 말부터 무재해 기록을 이어가고 있으며, ID본부는 오는 11월 무재해 4배수 달성을 앞두고 있다.
![]() |
▲ 조폐공사, CEO 주재 ‘긴급 안전 점검회의’ (사진=조폐공사) |
조폐공사는 안전 역량 강화를 위해 전담조직을 ‘안전관리처’로 격상하고 매년 안전예산을 증액해 왔다. 위험물 보관시설 신축 등 투자 확대와 함께 협력사 안전 협의체도 운영 중이다. 최근 ID본부에서는 16개 협력업체와 함께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협의회를 열고, 새로운 환경·보건·안전 경영방침을 선포했다.
조폐공사는 이번 회의를 계기로 전사적 안전경영 체계를 재점검하고, 현장의 유해·위험 요인 개선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다. 앞으로 협력업체를 포함한 전사적 안전망을 구축해 모든 근로자가 안심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만들겠다는 방침이다.
성 사장은 “국민 안전을 책임지는 공공기관으로서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중대재해 ‘제로(Zero)’와 지속가능한 책임경영을 반드시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