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두산그룹 부회장 “협동로봇 시장 선점하자”

하수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6-29 14:02:39
  • -
  • +
  • 인쇄
독일 뮌헨 ‘오토매티카 2023’ 참관
▲두산그룹 박지원 부회장(왼쪽에서 두 번째)이 오토매티카 전시부스에서 두산로보틱스 협동로봇을 활용한 솔루션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두산그룹)

[일요주간=하수은 기자]박지원 두산그룹 부회장이 두산로보틱스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급성장하는 협동로봇 시장 선점을 위한 전략을 모색하고자 28일 독일 뮌헨에서 열리고 있는 ‘오토매티카(Automatica) 2023’을 참관했다.

오토매티카는 유럽 최대 규모의 로봇, 자동화 기술 솔루션 전시회로 로봇 공학, 인공지능 및 디지털 솔루션 관련 기업들이 참가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비즈니스를 펼치는 자리다.

29일 두산그룹에 따르면 박 부회장은 글로벌 협동로봇 제조사의 전시장을 살피며 최신 제품 동향을 확인하고 글로벌 시장 상황을 점검했다. 특히 두산 협동로봇과 함께 자동화 생태계를 형성할 자율이동로봇, 3D카메라, 자동화 솔루션 관련 기업 부스에서 오랜 시간 머물며 기술력을 검토했다.

박 부회장은 “제조업 현장에서 산업용 로봇과 작업자를 보조하며 반복작업을 하던 협동로봇이 인공지능을 통해 인간과 상호작용하며 활용 범위를 크게 늘리고 있다”면서 “본격 성장기에 진입한 협동로봇 시장 선점을 위해 다양한 기업과 협력하여 새로운 기회를 적극적으로 발굴해 나가자”고 했다.

두산로보틱스는 2017년 협동로봇 양산을 시작한 후 글로벌 첫 데뷔 무대로 2018년 오토매티카를 선택해 협동 로봇 제품과 자동화 공정 솔루션을 선보였다. 제조업의 본고장인 독일에 진출해 업계 최고 수준의 성능과 안전성을 인정받고 세계 시장에 도전한다는 계획이었다.

이후 유럽과 미국 메이저 박람회에 참가하며 이름을 알린 두산로보틱스는 제조업에 국한하지 않고 식음료·물류·의료 등 서비스 산업 전반으로 사업영역을 넓히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현재 두산로보틱스는 25㎏에 달하는 중량물을 다루는 H시리즈에서부터 우수한 가격경쟁력을 갖추고 식품위생안전 인증을 받은 E시리즈까지 전 세계 협동로봇 제조사 중 가장 많은 13개 제품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지난해 2년 연속 연간 판매량 1000대를 넘어섰다.

보스턴컨설팅그룹에 따르면 글로벌 협동로봇 시장은 지난해 6600억원 규모에서 2026년 1조9300억원 규모로 연평균 27%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두산로보틱스는 전 세계 100여 개 국가에서 사업을 전개하는 북미 최대 자동화 솔루션 기업 로크웰과 올해 4월 파트너십을 맺고 글로벌 협동로봇 시장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박 부회장을 비롯한 경영진은 전시회 참관 뒤 현지에서 워크숍을 열고 자동화 산업의 최신 동향 및 미래기술을 점검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박지원 두산그룹 부회장 “협동로봇 시장 선점하자”2023.06.29
두산그룹, 집중호우 피해지역 이재민 지원 위해 성금 5억 원 기탁2023.07.18
두산그룹, 회복세 명확... 연말 자산 30조원 예상2023.08.17
두산그룹, 자회사 상장 통해 신성장 사업 동력 확보...로보틱스, 로지스틱스 등 주목2023.08.30
두산그룹, AI 예측 모델로 ‘디지털 엔지니어링 어워드’서 최우수 기업 선정2023.12.09
두산그룹, 33년째 최전방 군 장병들 복지 위해 '사랑의 차' 전달2023.12.11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과감한 도전·혁신 통해 미래 성장동력 확보" 포부 밝혀2024.01.02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CES 현장서 로봇·AI 현주소 살피고 미래사업 방향 모색2024.01.11
두산그룹, '바보의 나눔'에 성금 10억 원 기부...영케어러 등 지원2024.03.26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카자흐 대통령과 에너지사업 협력 논의2024.06.13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기회는 반드시 온다...현재를 단단히 하면서 미래 준비하자" [신년사]2025.01.02
두산에너빌리티, 제주에 ‘윈드파워센터’ 개소…재생에너지 허브 시동2025.09.03
두산에너빌리티, APEC 회원국 에너지 당국자 잇단 방문…글로벌 협력 확대2025.08.31
두산에너빌리티, 체코 테믈린 원전 발전기 교체 수주…15년 장기 유지보수 포함2025.09.11
두산에너빌리티, 한국남부발전과 양수발전 핵심 기자재 설계·제작 기술 국산화 MOU 체결2025.09.17
두산에너빌리티·GS반월열병합, 연료전환 현대화 사업 업무협약 체결… 지속가능 에너지 기반 강화2025.09.24
두산에너빌리티, 국산 가스터빈 미국 시장 첫 수출…한국 발전산업 새 역사2025.10.13
젊은 예술가의 도전을 응원하다…두산연강예술상, 전서아·박정우에 영예의 상 수여2025.10.22
두산로보틱스, 대동과 '온디바이스 AI 기반 농업로봇 공동개발' MOU 체결2025.10.20
두산그룹, 실리콘밸리로 향했다…AI 혁신 로드맵 수립 나선 박지원 부회장2025.09.24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