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골프시장 본원시장 규모 8조 1750억 원, 파생시장 14조 2590억 원… 파생시장 성장으로 산업의 확장성 이끌어
![]() |
▲ 한국 골프산업백서 2024 표지(이미지=골프존그룹) |
[일요주간=엄지영 기자] 유원골프재단(이사장 김영찬)과 서울대학교 스포츠산업연구센터가 대한민국 골프산업의 현황과 미래 전략을 담은 ‘한국 골프산업백서 2024’를 발간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발간은 2016년 이후 2년 주기로 이어온 다섯 번째 백서로, 2022년부터 2023년까지 2년간의 국내 골프시장 데이터를 중심으로 필드골프, 스크린골프, 대회, 용품, 시설, 유통 등 골프 관련 산업 전반의 규모와 가치를 분석했다.
백서는 골프산업을 ‘본원시장’과 ‘파생시장’으로 구분해 분석했다. 본원시장은 골프 참여와 관람 등 직접적인 소비 활동이 발생하는 시장을 의미하며, 파생시장은 골프용품, 골프장 운영, 시설관리 등 관련 산업을 포함한다. 나아가 본원시장과 파생시장이 상호 작용하며 가치를 창출하는 네트워크 구조로 골프산업을 이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023년 기준 국내 골프시장 규모는 22조 4330억 원으로, 2022년 대비 8% 성장했으며, 골프 인구는 700만 명을 넘어섰다. 본원시장은 전체 시장의 36.4%인 8조 1750억 원, 파생시장은 63.6%인 14조 2590억 원으로 집계됐다. 세부적으로 비이벤트 필드골프 참여 시장은 4조 8030억 원으로 전체 본원시장의 58.8%를 차지했으며, 스크린골프 참여 시장은 2조 3590억 원으로 28.9%를 기록하며 성장세를 보였다.
주요 파생시장도 눈에 띄는 성장을 나타냈다. 연습장 및 스크린 설비를 포함한 골프용품 시장은 11조 444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4.7% 증가했으며, 골프관광시장 역시 43.6% 성장한 1조 2410억 원으로 확대됐다. 관람시장도 13% 성장한 5890억 원 규모를 형성하며 다양한 방식의 골프 소비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백서는 이러한 성장을 골프 인구 증가와 가계 소비 회복으로 설명했다.
이번 백서는 ESG 경영의 일환으로 전자책 형태로 발간돼 유원골프재단 홈페이지에서 열람할 수 있다. 김영찬 유원골프재단 이사장은 “단순한 시장 규모 변화에 그치지 않고 소비자 이용 행태와 산업 구조의 다변화까지 반영했다”며, “이번 백서가 골프산업 전반에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서울대 스포츠산업연구센터 강준호 센터장은 “연속적인 골프산업 분석을 통해 시계열 데이터의 가치가 높아졌다”며, “백서의 분석 틀인 스포츠시장가치망이 다양한 스포츠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로써 ‘한국 골프산업백서 2024’는 국내 골프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 보여주는 통합 분석서로 자리매김하며, 정책 결정자와 산업 관계자들에게 중요한 지침서로 활용될 전망이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