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예산 '방만 경영' 논란...특정업무경비 29억여 원, 왜? .

황경진 / 기사승인 : 2015-05-25 21:54:19
  • -
  • +
  • 인쇄
ⓒNewsis
[일요주간=황경진 기자] 오는 2018년 개최되는 평창동계올림픽을 둘러싸고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스키장이 건설되는 가리왕산의 환경보전문제에 이어 이번에는 올림픽 조직위원회의 예산 지출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조직위원회가 예산을 방만하게 쓰고 있다는 것.

20일 <뉴스타파>는 평창올림픽 조직위원회 내부 자료를 인용해 조직위가 지난해 특정업무경비만 29억여 원을 지급했다고 보도했다. 임원이나 파견공무원 등을 예우해 급여 이외에 더 지급하는 금액인 특정업무경비의 경우 직급에 따라 받는 금액차가 있다.

지난해 파견 공무원이 180명, 기업 측에서 파견된 요원이 40명 정도이고 이들의 파견수당과 활동비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까지 포함한다면 7급 공무원 기준으로 무려 200만 원의 수당을 받는 셈.

심지어 조직위는 지난해 사무실 비용만으로 40억 원 가까이 지출해왔다고 <뉴스타파>는 전했다. 조직위는 서울 중구 을지로에 위치한 건물에서 3층 가량을 쓰고 있는데 문제는 이곳의 임차료로 13억여 원이나 지출된 것이다.

이와 더불어 해당 사무실 관리비까지 합치면 총 20억 원 가량의 금액이 건물을 빌리는데 들어갔다.

조직위원회 측 관계자는 이렇게 들어간 운영비가 국민의 세금이 아닌 금융기관에서 차입한 돈이라고 밝혔다. 올림픽 티켓 판매 등 동계올림픽으로 거둬들일 수익을 담보로 미리 돈을 끌어다 쓴 것이라는 것.

이런 식으로 조직위에서 지불한 차입금 상환액은 총 115억여 원이다. 지난해 예산 집행액 550억여 원 중 20%를 차입금 상환액으로 쓴 셈.

이뿐만이 아니다. 조직위는 직원들 보수 67억여 원과 국제고객관련해서 20억여 원, 지역관계 및 기업홍보에 56억여 원을 쓰는 등 지속적으로 수십억 원 가량의 돈을 써왔다.

이에 대해 조직위 담당자는 <일요주간>과의 전화통화에서 "아시안 게임과 같은 스포츠 경기를 열 때 국가에서 공무원에게 지급되는 특정업무경비일 뿐"이라면서 "오히려 강원도 평창과 같이 멀리떨어진 곳에서 지급되는 이번 올림픽 특정업무경비는 적게 책정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해당 담당자는 차입금 상환액에 관해 "재정확보가 아직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올해까지 차입금은 불가피하지만 내년부터는 쓰지 않을 계획"이라고 답했다.

그는 조직위 건물 임차료 부분에 대해서도 "과거 프레스센터를 이용하다가 사무실을 사용하는 인원이 늘어나다보니 옮길 수 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