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복지부는 1일 메르스 감염자가 추가로 3명이 확진 판정을 받아 환자 수가 18명이라고 밝혔다.
현재 추가로 확인된 3명은 경기도 B병원으로 첫번째 환자와 같은 입원실 환자와 가족들이다. 이곳에서 총 15명의 메르스 확진 판정 환자들이 나왔다.
이 외에 첫번째 환자를 진료한 의사인 50세 남성과 A의료기관의 간호사인 46세 여성 등만 기타 병원에서 2차 감염됐다.
당국은 아직까지 3차 감염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밝히고 있지만 지난달 15일 B병원에서 입원했던 첫번째 환자로 인해 같은 병실에 입원했던 환자와 보호자들이 계속해서 확진 판정을 받고 있어 감염된 환자 수는 계속 늘 것으로 보인다.
복지부는 지난달 29일 B병원에 현장대응팀을 파견한 뒤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앞서 국내 메르스 확진된 첫번째 환자는 중동의 바레인 등에 체류했다가 감염된 68세 남성으로 이어 두번째 환자는 이 남성을 간호한 63세 부인으로 밝혀졌다.
한편 정부당국이 메르스 확산에 대한 긴급 대책회의를 1일 마련했다. 특히 이날 당정회의에서 메르스 확산 문제에 대해 정부를 질타하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당정협의를 주재한 새누리당 원유철 정책위의장은 "메르스에 대한 국민들의 걱정과 불안이 이만저만이 아니다"며 "정부가 초기 대응을 제대로 못해서 메르스 감염이 확산돼 문제가 더 커진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원 정책위의장은 "어떠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우리 정부가 초기 대응을 적극적으로 잘해서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으면 문제가 확산되지 않고 조기에 수습될 수 있었을 것"이라며 "정부의 안이한 판단과 조치 때문에 문제를 확산시키고 화를 키우는 경향이 많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도 "메르스와 관련된 증상을 국민들이 제대로 모르고 있던 상황에서 불안감을 조장하는 루머, 괴담이 급속하게 퍼지고 있다"면서도 "그 모든 걸 루머나 괴담으로 치부할 수도 없다"고 밝혔다.
유 원내대표는 "그 중 일부는 보안관리가 철저하지 못해서 알려지는 바람에 (알려진 것으로) 지금 당에서도 각 지역에서 불안한 얘기를 많이 듣고 있다"면서 "어디까지 국민들에게 알리고 어디까지 보안이 유지돼야 하는지. 그 부분도 굉장히 중요한 문제인데 전부 다 정부의 능력이나 신뢰에 관한 문제다"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미흡한 초동 대응으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와 불안을 끼친 점에 대해서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문 장관은 "정부는 지난달 28일부터 메르스 관리 체계를 질병관리본부에서 복지부가 주관하는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로 격상하는 등 메르스의 추가적인 확산을 막기 위해서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앞으로 1주일간 메르스 확산이냐 진정이냐의 기로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히 3차 감염을 막기 위해 민관과 협조해 전 국가적인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