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1일 25번째 확진 환자인 57세 여성이 급성호흡기 부전으로 사망했고 국가지정격리병상에서 치료를 받던 71세인 6번째 환자도 사망했다.
25번째 환자는 지난달 11일부터 천식으로 인한 호흡곤란으로 입원치료를 받다가 국내 첫번째 환자와 접촉했고 이후 치료를 받던 중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6번째 환자도 첫번째 환자가 입원한 B병원에서 외래진료를 받았지만 격리되지 않다가 지난달 27일 국가지정격리병상으로 옮겨졌지만 심장과 폐기능이 멈춰 결국 사망했다.
이런 가운데 이날 메르스 확진 환자 6명이 추가로 발생했다. 이들 중 3차 감염자 2명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나타나 우려가 커지고 있다.
2명은 16번째 확진자와 같은 병원, 같은 입원실을 썼던 환자들이다. 다른 4명 확진자는 첫번째 확진자와 같은 병실을 사용했던 환자와 가족들로 알려졌다.
메르스 발생 초기 당국이 밝힌 격리 관찰 대상자는 64명에 불과했지만 12일 만에 10배가 넘게 늘어 700명이 넘게 됐다. 메르스 발생 13일 만에 현재까지 환자는 총 26명으로 증가했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병원 명칭을 공개하지 않는다"며 입장을 밝혔다.
복지부는 "오늘(2일) 오전 회의에서도 일부 병원 공개에 대한 의견이 있었지만 절대다수에게 병원 명칭을 공개하는 것보다 의료진들이 격리 대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방식으로 의견이 모였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금같은 상황이 이어진다면 메르스 격리관찰자가 1,000명이 넘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때문에 보건당국이 해당 병원들을 공개하지 않는 게 오히려 재난 상황을 키우는 조치라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이와 관련 새정치민주연합 강기정 정책위의장은 2일 당 원내대책회의에서 "범죄 수사도 비공개 수사 하다가 초동수사가 미흡하다거나 어느 시점이 되면 공개수사로 전환해 진행하는 것이 수사 기본인 것처럼 해당 주민, 의료인, 학교 시설관계자 등 주요 기관들이 경각심을 갖도록 하는 것이 정부 대책"이라고 지적했다.
김용익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감염 지역을 먼저 공개해야 그 지역을 책임지는 지방자치단체가 능동적으로 대처해서 백화점, 학교 등 감염 퍼질 수 있는 지역에 조치를 할 것"이라며 "그러나 복지부는 이것도 안하고 있으면서 자신도 조치를 못하고 지자체가 할 수 있는 것도 못하게 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비판했다
김성수 새정치민주연합 대변인도 "정부의 대응이 총체적인 부실로 드러난 상황에서 지금이라도 정확한 정보를 공개해 추가 감염을 막아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고 밝혔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