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이민석 기자]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가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현재 확진 환자 5명이 추가돼 총 30명이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들 중 3차 감염자가 총 3명으로 늘면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때문에 보건당국의 무사안일한 대처로 피해가 확산됐다는 비판이 들끊고 있으며 일각에서는 정부의 초동대처 미흡이 과거 사스와 신종플루 대처 상황과는 상반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3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메르스 검사를 받은 5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 중 4명의 확진 환자는 모두 B의료기관에서 지난달 15~17일 첫번째 환자와 같은 병동에 입원한 환자와 가족으로, 메르스 유전자 검사에서 최종 양성으로 판정됐다.
다른 1명의 환자는 지난달 22~28일 16번 확진자와 F의료기관에서 같은 병실에 입원했던 환자로 3차 감염자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메르스 민관합동대책반은 "23, 24번째 확진자와 같은 의료기관에서의 감염으로 1명의 확진자가 나왔다"며 "지역사회의 감염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런 가운데 사스(SARS)와 신종플루(H1N1) 등 신종 전염병이 창궐했을 때와는 다른 정부 대처능력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앞서 지난 2003년 사스가 중국에서 유행했을 당시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해 정부의 검역·격리치료 대책과 향후 대책 강화 방향을 밝혔고 4월 23일 긴급 관계부처 차관회의를 열어 신속한 대응 체계 구축을 시도했다.
그 뒤 국내 첫 사스 추정 환자가 발생했던 같은 달 28일에 긴급 관계부처 장관회의를 열고 방역체계를 점검해 긴급 예산투입 및 인력배치를 논의했다.
당시 정부당국은 대한병원협회·대한의사협회 등 민간의료 단체와 협력체계를 구축해 대응 방안 모색에 나섰고 권역별 격리치료병원 41개소(138병상)를 지정해 운영했다.
그 다음달인 5월에는 66억 원의 예비비를 확보해 추정·의심환자의 진료비를 지원하고 사스 방역을 위한 마스크 7만 5천개, 방호복 3만 벌, 보호안경 1만 6천개를 병원 및 보건소 등에 나눠줬다.
이로 인해 사스 사태는 확진환자와 사망자 없이 3명의 추정환자와 17명의 의심환자만을 남긴 채 종료됐다. 당시 우리나라는 세계보건기구(WHO)으로부터 '사스 방역 성공국가'라는 평가를 받았다.
신종플루 창궐 때는 앞서 지난 2009년 신종인플루엔자 추정환자가 발생한 날인 4월 28일 이후 8월 19일까지 2,417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었다.
이에 정부는 환자 집계를 중단한 채 고위험군에 대한 무조건적인 항바이러스 처방지침을 내렸다. 11월에는 하루 10만 명 분 이상의 항바이러스제를 처방했다.
하지만 이에 반해 현 정부당국은 메르스가 확진 환자 1명당 2차 감염자 숫자가 0.7명 꼴의 전염력이 낮은 질병이라고 판단해 격리 대상자를 소수로 제한하는 등 미흡한 초동 대응으로 3차 감염자까지 발생시켰다.
결국 국내 메르스 감염 환자는 2주 만에 30명으로 증가했고 이에 따라 현재 시민들의 공포감은 더욱 확대되고 있는 양상이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