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이어 '탄저균'? 미 언론 "탄저균 배달사고로 22명 노출가능성 있어…치료 중"

황경진 / 기사승인 : 2015-06-10 11:41:00
  • -
  • +
  • 인쇄
ⓒNewsis
[일요주간=황경진 기자]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공포가 전국을 휩쓸고 있는 가운데 지난 28일 오산 미군 기지 내 살아있는 탄저균 표본이 배달된 사실이 드러났다. 설상가상 미 언론이 탄저균 배달 사고로 인해 민간인 포함 22명이 탄저균에 노출될 가능성을 보도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국민들의 불안감은 한층 더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달 29(현지시각) 미 폭스뉴스 보도에 따르면 오산 미군기지 내 주한미군을 포함한 22명은 살아있는 탄저균 샘플에 노출됐을 가능성으로 치료 중이다. 이들은 각각 미 공군 5명과 미 육군 10, 계약근로자 3, 시민 4명 등으로 예방적 차원의 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폭스뉴스는 이날 "국방부는 이 탄저균 표본이 일반대중에게는 문제없지만 그 위험성은 여전히 남아있다"고 전했다.
전날인 28(현지시각) 워싱턴 포스트도 "오산 미 공군기지에서 근무하던 22명의 직원이 탄저균에 노출돼 응급격리시설에서 치료 중"이라고 보도했다.

미 국방부는 앞서 지난달 27일 미국 유타 주 생화학무기 실험실인 더그웨이 군 연구소에서 살아있는 탄저균 표본을 오산 주한 미군기지 내 합동위협인식연구소(ITRP)로 오배송했다고 한국 측에 통보했다.

잘못 배송된 탄저균 표본은 미 국방부가 발표하기 4주 전인 5월 초, 오산 공군기지로 반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미 현지 언론들은 미국 내 메릴랜드 주를 포함해 17개 주와 한국, 호주, 캐나다 등 3개국 등 51곳에 탄저균을 오배송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일주일이 지난 8(현지시각) 미 국방부는 펜실베니아와 로드아일랜드 주를 포함해 탄저균을 잘못 배달한 연구소가 66곳이라고 정정 발표했고 하루 뒤인 9(현지시각) 영국과 매사추세츠 주를 포함해 68곳이라고 발표하는 등 오배송된 지역이 추가적으로 더 나올 가능성을 전했다.

당시 오산 미군 기지로 배달된 살아있는 탄저균은 냉동 처리된 상태로 3중 포장까지 해서 보내진 것으로 알려졌으며 주한미군은 미 국방부의 통보를 받고 이를 폐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미 국방부 대변인 스티브 워렌은 "탄저균 감염이 의심되는 사람은 없다"며 사태 진화에 나섰지만 과거 생화학무기로 사용될 만큼 치명적인 독성을 지닌 탄저균이 국내에 유입됐다는 소식에 전 국민은 불안감을 감추지 못했다.

특히 미 국방부가 위험물질인 탄저균을 국내로 유입 당시 우리 정부 측에 알리지 않았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통관·관세 규정이 적시돼있지 않은 한·미주둔군지위협정(SOFA)의 개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탄저균 표본이 국내에 어떤 경로로 유입됐는지, 유입된 탄저균 양이 어느 정도인지, 탄저균으로 어떤 실험을 진행하고 있는지 등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미 국방부는 이에 따른 명확한 답변을 하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이장희 한국외대 명예교수는 <일요주간>과의 통화에서 "우리정부 측에 통보하지 않고 강력한 독성물질인 살아있는 탄저균을 국내로 배송한 것은 굉장히 위험한 행위"라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한·미주둔군지위협정(SOFA)에서 미군 기지 출입에 대한 통관 규제가 매우 허술해 이 같은 사태가 벌어진 것으로 이 협정에는 미 병력에 따른 변화, 위험 무기를 반입할 때 사전에 통보하고 협의하는 조항이 빠져있다"며 "한미 소파 규정은 주변국인 일본과 필리핀간의 소파 규정에 비해 매우 불평등하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미국은 생물무기금지협약(BWC)도 위반했다"며 "살아있는 탄저균을 실험·제조하고 이를 다른 나라로 배달한 것은 국제법에 따라 금지된 행위"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정식사과를 했지만 이번 사태가 일회성으로 끝날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실체적 진상규명이 필요하다"며 "국회 차원에서 탄저균 관련 위원회라도 발족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생물무기금지협약은 세균무기 및 독소무기의 개발·생산 및 비축의 금지와 폐기에 관해 규정한 다자간 군축·비확산조약으로 가입한 국가들에게 탄저균과 같은 영구적 상해를 유발하는 바이러스 등의 생산과 비축을 금지하고 있다.
한편 이런 가운데 정부는 10일 탄저균 배달사고 관련 관계 부처간 첫 비공개 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회의는 SOFA합동위원회의 한국 측 위원장인 신재현 외교부 북미국장의 주재로 산업통상자원부와 국방부, 보건복지부의 과장급 관계자가 참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건 발생 이후 합동위 산하 분과위 차원의 회의는 이뤄져 왔지만 합동위원장이 소집한 관계 부처간 실무회의는 처음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주둔군지위협정(SOFA) 개정 등 재발방지 방안에 대해 논의가 오갈 것으로 보인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