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뒤늦게 삼성서울병원 측이 접촉자 관리 소홀을 인정하고 나섰지만 접촉자 통제 실패에 따른 정부 방역의 무능함과 안이함은 명명백백하게 드러났다.
애초 정부는 사실상의 방역 관리를 삼성서울병원에 맡겼고 이에 따른 관리를 병원이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메르스 사태를 심각한 위기 상황으로 몰아넣었다.
현재 메르스 상황은 시간이 지난수록 수그러들기는커녕 지역감염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는 양상이다. 16일 오전 10시 현재따지 메르스 확진 환자 수 154명, 사망자 19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속속 드러나고 있는 문제 진원지가 바로 이 삼성서울병원이다. 지난 14일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서 근무했던 30대 의사가 138번 환자로 확진됐음을 보건당국은 밝혔다.
문제의 심각성은 이 의사가 이미 지난달 27일 ‘슈퍼전파자’ 14번 환자에 노출됐는데도 불구하고 격리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으며 그 상태로 진료를 계속 해왔다는 것. 그 사이 이 의사와 접촉한 사람이 얼마나 되는지조차 지금 당국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보건당국의 방역이 더욱 논란이 되고 있는 건 삼성서울병원 의사가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다는 사실을 무려 9일 동안 숨겨왔다는데 있다. 보건당국은 지난 6일 확진 판정을 받은 62번 환자가 삼성서울병원 의사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이를 9일이나 지난 15일 뒤늦게 공식 발표했다.
삼성서울병원의 보호자와 방문자 관리 시스템에 대해서도 논란이 심화되고 있다. 보건당국은 삼성서울병원에서 통제 밖 메르스 환자가 발생할 때마다 응급실 환자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14번 환자와의 접촉 유무를 확인한다는 말만 되풀이해왔다.
하지만 데이터베이스는 환자 정보만 담은 것으로 보호자나 방문자에 대한 정보가 없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즉 보호자와 방문자의 관리를 느슨하게 해왔다는 것이다. 결국 이로 인해 14번 환자를 통해 감염된 환자 가운데 거의 절반에 달하는 30여명이 외부 보호자와 방문자가 될 수밖에 없었던 것도 바로 거기에 있으며 더욱 논란이 되는 건 그들이 자가 격리 대상에도 포함되지 않았다는 데에 있다.
전문가들은 지금 현재 삼성서울병원의 방역망은이 완전히 뚫린 거나 다름없다고 입을 모은다. 지난 12일 메르스 감염이 확인된 삼성서울병원의 이송요원 137번 환자가 메르스 증상 이후 9일 동안 병원에서 접촉한 사람만도 200여명이 넘은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주말 기점으로 사태가 진전될 것으로 예상한 보건당국의 전망과는 달리 오히려 현실은 메르스의 3차 대란을 예고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심각성에 비해 보건당국의 태도는 미지근하기 그지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총괄반장은 “삼성서울병원에서 사태가 발생했을 때 병원 내 직원, 의사, 간호사, 환자 등에 대해서는 충분히 파악을 해서 관리할 것으로 생각했다”며 “지나고 보니까 미흡한 면이 조금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애초 정부와 삼성서울병원이 메르스 감염 초기 단계부터 전면적 역학조사와 격리조처를 감행했더라면 재앙으로 변한 메르스 사태를 산전에 잠재울 수 있었다는 의견이 팽배하다. 또 지금부터라도 정부가 적극적 조치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 박원순 서울시장은 “그동안 삼성서울병원은 메르스 대응과 관련해 국가의 방역 망에서 사실상 열외 상태에 놓였고 그것이 오늘날 이렇게 큰 화를 불러일으켜다”며 “삼성서울병원에 전권을 맡기는 것은 부적절하다. 이제는 국가가 전면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메르스 확산 방역에 실패한 삼성서울병원에 대해 부분 폐쇄 결정을 내린 상태다. 아울러 메르스 확산 방지를 위한 민간전문가 10명, 복지부 방역관 등 6명, 역학조사관 4명 등 총 24명으로 구성된 ‘메르스 삼성서울병원 즉각대응팀’을 파견하고 향후 메르스 방역에 대한 엄중한 조처를 예고했다.
그러나 15일 메르스 대책 상황 기자설명회에서 김창보 서울시 보건기획관은 “환자에 대한 정보를 언론 보도를 통해 알 정도”라며 삼성서울병원과 정부 간의 정보공유가 여전히 원활하지 않고 있음을 시사하는 듯한 발언을 해 보다 면밀한 정부방역당국의 대처 방안이 촉구되고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