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대표는 “사실에 입각한 중립적인 시각을 갖춘 국정 역사교과서 도입을 통해 학생들에게 편향된 역사관을 교육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언급해 사실상 한국사의 국정화에 불을 지폈다.
그 동안 교육부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을 위해 물밑작업을 해오면서도 야권과 진보단체의 반발을 의식해 공식 언급을 자제해 왔다.
이런 상황에서 집권당의 수장이 야당 의원들이 지켜보고 있는 국회 심장부에서 공개적으로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공론화하면서 야당이 강력 반발하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의 반응은 즉각적이였다. 문재인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김무성 대표의 역사교육에 대한 발언을 일본 극우파의 주장과 다름없다며 강력 비판했다.
문 대표는 “역사 교과서의 국정화는 과거 독재정권 시절의 발상이다”고 일갈했다.
이미 야당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저지 특위’를 발족해 역사 교과서의 국정화 저지를 위한 총력 대응에 나서고 있다.
정부와 여당이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 전환을 본격화하면서 일선 교사들과 역사학자들의 반발도 거세지고 있다.
2일 서울대학교 역사 관련 5개학과 교수 34명을 비롯해 전국역사교사모임 소속 교사 2,255명은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서울대 오수창 교수 등은 이날 오후 정부종합청사에서 황우여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만나 한국사의 국정화에 반대하는 교수들의 입장이 담긴 의견서를 전달했다.
의견서에는 “똑같은 역사교재로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은 문화 창조 역량을 위축시킬 뿐만 아니라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에 장애가 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교육부는) 역사 교과서 제작의 자율성이 허용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고 지원하는 쪽으로 정책을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국역사교사모임 소속 교사들도 이날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반대하는 내용의 선언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교육부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중·고등학교 교사의 3분의 2가 (한국사) 국정화를 반대하는 등 현장 교사들의 반대 목소리가 높다”고 전제하고 “하나의 역사 해석을 학생들에게 주입하는 것은 역사교육의 본질에 정면으로 위배된다”며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를 결정한다면 국정 교과서 폐지 운동을 벌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같은 일선 역사교사와 역사학자들의 반발 속에 교육부는 이달 말까지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 전환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