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들 하청회사로 가느니 차라리 희망퇴직 선택했다는 반응"
"구조조정 거부자 오지 발령설 등 괴문서 유포..직원 압박 의심"
![]() |
▲ 지난 21일 KT새노조는 공공운수노조 방송통신협의회, 참여연대 등 시민사회와 함께 KT구조조정 거부 단식 농성 돌입 기자회견은 진행했다. (사진=공공운수노조 제공) |
[일요주간=임태경 기자] KT는 통신 분야 인력 6000여 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구조조정을 추진 중이다.
25일 회사의 구조조정을 거부하며 단식 농성에 돌입한 KT새노조는 "지난 24일 자회사 전출 1차 마감 결과 전출자는 극소수에 그쳤고 희망퇴직자만 늘어나고 있다"며 "직원들이 저임금의 하청회사로 가느니 회사에 남거나 차라리 희망퇴직을 선택했다는 의미다. 직원들의 구조조정 계획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 상태라면 신설법인(자회사)은 운영이 불가능한 수준이다. 어쩌면 당연한 결과다"며 "김영섭 대표부터 연초에 대규모 구조조정은 없다는 약속을 손바닥 뒤집듯이 어겼는데 신설법인이 고용을 보장한다는 회사의 말을 누가 믿겠는가"라고 일갈했다.
KT새노조는 명예퇴직자가 늘면서 오히려 회사의 핵심 인력만 유출될 우려가 크다며 "통신 인프라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숙련된 인력들이 유출되면서 KT의 통신 서비스의 안정성과 국민을 위한 공공성이 심각하게 훼손될 위기에 처해 있다"면서 "국민기업으로서 KT가 제공해야 할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가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결코 묵과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
▲지난 21일 KT새노조는 공공운수노조 방송통신협의회, 참여연대 등 시민사회와 함께 KT구조조정 거부 단식 농성 돌입 기자회견은 진행했다. (사진=공공운수노조 제공) |
KT새노조는 또 "현장에 대량 정년 퇴직으로 사람이 부족해서 실시한다고 회사가 주장하는 이번 구조조정은 기술자들의 인력 유출을 가속화 시켜 실패한 구조조정을 김영섭 대표가 자초했다"며 "이번 구조조정은 그 효과와 목적에서 명백히 실패한 정책이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영섭 대표는 더 늦기 전에 실패한 구조조정 계획을 철회해야 한다. 직원들의 희생을 강요하는 일방적인 정책이 아니라 진정으로 KT의 미래와 국민들의 요구를 반영한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을 다시 수립해야 한다"며 "KT의 안정적인 미래와 국민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지금이라도 구조조정을 멈추고 새로운 길을 모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지난 24일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조(이하 공공운수노조)는 성명을 통해 "지난 17일 KT 노사가 대규모 구조조정에 합의한 후 24일이 자회사 전출 1차 마감날이었다. 자회사 전출은 다들 가지 않고 KT에 남겠다는 움직임"이라며 현장 분위기를 전했다.
![]() |
▲ KT새노조는 신설법인 전출 및 희망퇴직자 관련 현황을 집계한 자료를 공개했다. 하당 자료는 내부 직원들이 집계한 자료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며 관리자 포함한 숫자로 실제 직원비율은 낮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자료=KT새노조 제공) |
공공운수노조는 “애초에 수십 년 KT가 전문성을 가지고 해 오던 필수 업무를 단순히 비용절감의 이유로 구조조정을 하려는 김영섭 사장의 생각은 실패할 수밖에 없다"며 구조조정 전면 백지화를 촉구했다.
공공운수노조는 "'구조조정 거부 시 발령받는 직무인 토탈영업TF 인력은 타직무로 전환이 불가하다'고 공지했다. 현재 KT에서 직무 전환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데 구조조정 거부자만 이런 차별적 제재를 가하는 것은 명백한 위법이다"며 "회사가 구조조정 거부자들을 오지에 발령낼 것임을 암시하며 겁박하고 있는 정황도 제보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직원들 사이에서 유포되고 있는 작성자 불명의 문건을 보면 해남, 진도, 고흥 등 발령지로 추정되는 지역이 명시돼 있다"며 "만약 회사가 조직적으로 이러한 일을 벌이고 있다면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