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출국장에 안내로봇 '에어스타'.(사진=newsis) |
[일요주간 = 최종문 기자] 국토교통부가 국내외 테러 동향·주요 보안정책 여건과 코로나19 대유행 등 환경변화를 반영한 ‘2021년 항공 보안 시행계획’을 수립·시행한다.
17일 국토부에 따르면 항공 보안 시행계획은 총 5개 분야에서 23개의 세부 추진과제로 구성됐다. 첨단 보안장비 기술개발과 배치 계획 수립 등 항공 보안 역량 강화는 물론 비대면·비접촉 시대에 맞는 보안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과제가 제시됐다.
주요 내용을 보면 우선 국제기준에 부합하고 새로운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미래비전과 목표설정을 위해 ‘제3차 항공 보안 기본계획’(2022~2026)을 수립한다.
국내 공항 짐 배송 서비스를 오는 4월부터 시범 추진하고, 백신 등 바이오의약품 보안 검색 절차 간소화 등 그동안 보안 검색 과정에서 불편했던 점을 개선할 계획이다.
또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강조하는 보안문화 확산 추진을 위해 보안의식 제고 캠페인과 워크숍 등을 추진한다. 시범운영 중인 인공지능(AI) X-레이 자동판독시스템의 기능 고도화를 통해 완벽한 검색환경을 구축할 계획이다.
한국판 뉴딜사업 예산 총 170억원을 투입해 전국공항에 생체정보를 활용한 비대면 탑승 수속 절차를 조기(2025년→2022년)에 확대 구축하고, 효율적인 항공 보안체계 구축을 위한 기획연구, 미래형 보안 검색 장비 공항 배치를 위한 청사진도 마련한다.
특히 테라헤르츠(T㎐)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보안 검색기술 개발을 4월에 착수하고, 신발을 벗지 않고 검색할 수 있는 검색기술개발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올해부터 2025년까지 580억원의 연구개발비가 투입될 예정이다.
디지털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CT) 기술을 활용해 정확도·속도가 대폭 향상된 휴대수하물 보안 검색 장비 개발에 286억원, 인공지능(AI), T㎐ 등 첨단기술을 적용한 대인 보안 검색 기술 개발에 294억원을 책정했다.
아울러 드론에 의한 항공 테러 예방을 위해 ‘불법 드론 대응 시스템’을 확대 구축한다.
유사시 신속한 테러 대응을 위해 실전 같은 대테러 훈련도 정례화한다. 한·미 항공 보안 협력 강화의 하나로 그동안 미국 교통보안청(TSA)과 추진해 온 미국행 승객에 대한 보안 인터뷰와 추가검색 완화를 협의해 구체적인 성과를 도출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인천발 미국 애틀랜타 공항에 도착하는 위탁수하물에 대한 환승검색 면제를 통해 한국 환승객들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원격검색시스템(CVAS)을 구축, 7월부터 시범운영 하는 방안도 협의하고 있다.
김수상 국토부 항공정책관은 “항공기 이용객의 안전은 물론 편의성을 향상하기 위해 다양한 항공 보안정책을 추진하고, 스마트 검색기술과 첨단장비를 개발·상용화하는 보안환경도 지속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