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서대, 교수·전문가 등 모여 AI 기술 최신 동향과 사이버 보안 미래 논의

하수은 기자 / 기사승인 : 2024-02-15 17:28:26
  • -
  • +
  • 인쇄
▲교수, 산업계 전문가, 대학원생, 학부생이 모여 AI 기술의 최신 연구 동향과 사이버 보안의 미래에 대해 논의하는 ‘HOSEO CREiAT 2024’가 개최됐다.(사진=호서대 제공)

[일요주간 = 하수은 기자] 호서대학교(총장 강일구)는 교수, 산업계 전문가, 대학원생, 학부생이 모여 AI 기술의 최신 연구 동향과 사이버 보안의 미래에 대해 논의하는 ‘HOSEO CREiAT 2024’를 마련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HOSEO CREiAT(Conference of Research and Experience in AI Technology)는 ‘AI+X와 협력’이라는 주제로 AI기술을 기반으로 한 융합 연구를 목적으로 설립된 AI+X 연구센터와 AI·SW중심대학사업단의 공동 주최로 지난 13일 아산캠퍼스 국제회의실에서 진행됐고 학계에서의 연구 동향과 산학협력의 방향성 및 미래 비전에 대해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했다.

학계에서는 국민대 윤명근 교수가 AI를 활용한 시그니처 생성방안과 데이터와 분석 연구에서의 산학협력의 필요성을 언급했고 이화여대 양대헌 교수는 대용량 고속처리 AI를 위해 필수적인 요구되는 카운팅 기술 연구, 호서대 조학수 교수는 네트워크 보안에서 AI를 활용한 이상트래픽 탐지 방향에 대해 소개했다.

산업계에서는 업계 관점에서 실질적인 제로트러스트 접근 방안과 데이터 융합을 통해 기술의 사일로를 해결할 수 있는 XDR 기술의 현황과 미래에 대해 다루었다.

호서대 AI+X 연구센터장 이태진 교수는 “호서대학교 AI+X 연구센터는 작년에 설립돼 이번에 첫번째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컨퍼런스가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학습과 연구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AI 연구에 있어서 대학과 기업 간 산학 협력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발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호서대, 대학교육 변화 속 '교육 질관리 체계 확대' 설명회 개최2024.01.10
호서대 실내디자인학과, KVMD 디자인공모전 '최우수상 수상 영예2024.01.17
호서대, 태산전자 김필영 대표 대학발전기금 1억 원 '쾌척'2024.01.26
호서대, 예비 신입생 대상 AI·SW 교육 캠프 '성료'2024.02.05
호서대, 설맞이 축제 온양온천시장서 개최...산학연계 전통시장 활성화 나서2024.02.07
호서대, 교수·전문가 등 모여 AI 기술 최신 동향과 사이버 보안 미래 논의2024.02.15
호서대, 대학원 졸업생 재학중 특허출원 10건...벤처프런티어 인재양성 시스템 주목2024.02.22
호서대, 아주자동차대와 '글로컬대학' 공동신청 협약..."실무인재 양성 역할 기대"2024.02.28
호서대, 글로벌 기술인재 육성 위해 한국폴리텍대 아산·충남캠퍼스와 손잡았다2024.03.04
호서대, 충남 지역경제 및 산업 활성화 위해 업무협약2024.03.13
호서대, 산림청 주관 '한국 산림식물 정유은행' 바이오사업 선정2024.03.20
호서대, 백석대·선문대·순천향대·한기대와 '지역 지능화 인재 육성' 협약 체결2024.03.21
호서대, MT 기간 태안 일대서 환경정화 봉사활동 펼쳐2024.04.01
호서대, 충남 최초 기후위기·ESG 교육 '탄소중립 마이크로디그리' 개설2024.04.05
호서대 반도체특성화대학지원사업단, 반도체 인재양성 전문가 특임교수 임명2024.04.15
호서대, 평택대와 교류·협력 업무협약 체결..."공학·인문 분야 시너지 기대"2024.04.25
호서대, 조혜련 초청 '예랑제' 축제 성료...기독교 정신과 가치 공유2024.05.01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