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시각장애인이 설리번A 앱을 활용해 책자와 영수증, 명함 등에 있는 글의 내용을 확인하고 있다. (사진= SK텔레콤 제공) |
[일요주간 = 이수근 기자] 부산 BEXCO에서 7일부터 19일까지 열린 '제1회 부산 세계 장애인 퍼레이드'에서 SK텔레콤은 장애인을 위한 AI 서비스 3종, ▲설리번 서비스 X SKT AI ▲G-eye Plus X VLAM ▲AI 발달장애인 케어를 소개하였다.
SK텔레콤은 이 행사를 방문하는 관계자들에게 장애인들의 생활에 편의를 더하는 장애물 없는 AI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또한 '새로운 디지털 연결' 세션에 참여하고, 장애물 없는 관련 'ICT 정책 및 장애 포함' 주제의 패널 토론에도 참여할 계획이다.
이번에 소개되는 '설리번 서비스 X SKT AI' 코너에서는 소셜벤처 기업인 투아트(Tuat)가 SKT와 개발한 AI 시각 보조 음성 안내 서비스 '설리번 플러스'와 '설리번 A'를 소개한다. '설리번 플러스'는 사람, 글자, 물체, 색상 등을 인식하고 시각 장애와 저시력자가 스마트폰 카메라로 물체나 공간을 찍을 때 음성으로 이를 알려준다. 설리번 플러스는 ‘WC22’에서 ‘글로모 어워드’를 받았다.
‘설리번 A’는 다양한 문서의 형식을 학습하여 문서의 내용을 읽거나 요약하는 서비스다. 또한 명함을 인식하여 이메일을 보내거나 전화를 걸 수 있게 해서 시각 장애인의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앱 서비스다. CES 2023에서 혁신상을 수상하였다.
‘G-eye Plus X VLAM’은 LBS Tech와 SK텔레콤이 공동 개발한 시각 장애인을 위한 고정밀 위치 기반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 위치 AI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카메라 버튼을 누르고 180도 회전하면 현재 사용자 위치를 평균 1m의 오차로 측정할 수 있다. 시각 장애인이 건물의 정문이나 차도로 이동할 때 위치와 방향을 정확하게 안내해 줄 수 있다.
‘AI 발달장애인 케어’는 전문가 대신 AI가 발달 장애인의 자해 및 타해등과 같은 비정상 행동을 완화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 관찰 작업’을 수행하는 서비스다. ‘AI 발달장애인 케어’는 도전적인 행동의 심각성, 빈도, 시간 및 원인을 장기간 기록, 분석하고 제공한다. 이를 통해 전문 인력은 발달 장애인을 위한 지원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등의 본래의 업무에 집중할 수 있다.
SK텔레콤의 ESG 얼라이언스 담당 엄종환은 "이 대회를 통해 한국의 장애물 없는 AI 기술과 서비스를 전 세계 관객에게 선보이려고 한다."라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