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용 의원 “농협은행은 사회적 책임과 농업‧농촌에 대한 발전을 위해 앞장서야”
“사회공헌비 낮아져 서민과 온기 나누는 따뜻한 금융기관이란 소개 무색할 정도”
![]() |
▲사진=newsis. |
[일요주간 = 김완재 기자] NH농협은행(은행장 이석용)이 천문학적인 이자수익으로 벌어들인 돈으로 임직원들의 성과급 잔치를 벌이면서 공익목적의 사회공헌비는 줄인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정희용 의원이 농협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2018년~2022년)간 농협은행의 이자수익 및 사회공헌비와 성과급 등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농협은행의 이자수익은 2018년 5조 1991억 원에서 2019년 5조 1672억 원, 2020년 5조 3939억 원, 2021년 5조 8908억 원, 2022년 6조 9383억 원으로 5년 간 1조 7392억 원으로 33%나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농협은행의 사회공헌비는 2018년 710억 원에서 2019년 807억 원으로 증가한 후 2020년 746억 원, 2021년 745억 원, 2022년 598억 원으로 하락, 최근 5년 간 112억 원(15.8%)이나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 |
▲최근 5년간 성과급 지급내역.(자료=정희용 의원실 제공) |
![]() |
▲NH농협은행 성과급 산정방식.(자료=정희용 의원실 제공) |
특히 농협은행의 성과급 총액은 2018년 5454억 원, 2019년 5127억 원, 2020년 5799억 원, 2021년 6242억 원, 2022년 6883억 원으로 5년간 26.2% 증가했으며 이로 인한 직원 1인당 평균 성과급도 2018년 3100만 원에서 지난해 4000만 원으로 29%나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관련해 정희용 의원은 “지난 5년간 성과급이 증가할 때 사회공헌비가 낮아져 농협은행이 서민과 온기를 나누는 따뜻한 금융기관이란 소개가 무색할 정도”라며 “농협은행은 본연의 설립 취지를 잊지 않고 농업‧농촌에 대한 공헌과 발전을 위해 앞장서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NH농협은행 원화대출금 평균금리는 2020년 2.77%에서 2022년 4.71%로 약 2%p 높아진 것으로 확인됐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