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주년 맞이 기념식 개최…재단의 발자취, 철학과 성과 담은 스토리북 발간
CJ 전문성 활용한 문화사회공헌 활동 추진…미래 인재 육성 위해 더욱 힘쓸 것
![]() |
▲ 민희경 CJ사회공헌추진단장(중간)이 (왼쪽부터) 배우 김나운님, 윤경호님, CJ도너스캠프 아카데미 마스터 멘토 류경화님, 우수 일반기부자 김수호님에게 감사패를 전달하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CJ그룹 제공) |
[일요주간 = 엄지영 기자] CJ그룹의 사회공헌을 이끌어 온 CJ나눔재단이 올해로 설립 20주년을 맞아 의미 있는 발자취를 돌아봤다. 2005년 시작된 이래, 재단은 아동과 청소년에게 다양한 교육과 문화 기회를 제공하며 사회적 책임을 다해왔다.
2005년 이재현 회장의 신념인 “교육 기회가 부족해 가난이 대물림되어서는 안 된다”는 뜻을 바탕으로 설립된 CJ나눔재단은 지난 20년간 약 220만 명의 아동·청소년을 지원했으며, 누적 후원금 규모는 2100억 원에 달한다.
CJ나눔재단은 설립 20주년을 기념해 CJ인재원에서 ‘20 YEARS TOGETHER’라는 슬로건 아래 기념식을 열었다고 21일 밝혔다. 이 자리에서는 재단과 함께해온 기부자, 봉사자, 지역아동센터 교사 등 사회공헌 활동 참여자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며 지난 20년간의 발자취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행사에서는 배우 김나운과 윤경호를 비롯해 CJ 임직원 우수 기부자와 봉사자 등 총 10명에게 감사패가 수여됐다. 또한 재단과 함께 성장해온 이들이 모여 나눔의 가치와 사회적 변화를 공유하는 뜻깊은 시간을 보냈다. 더불어 CJ나눔재단은 20년의 역사를 담은 스토리북을 제작하고, 공식 홈페이지에 20주년 기념 페이지를 오픈했다. 해당 페이지에서는 연도별 재단 활동, 철학과 성과, 그리고 아동들이 직접 쓴 감사 편지 등을 만나볼 수 있다.
CJ그룹의 ‘최초, 최고, 차별화’라는 온리원(OnlyOne) 경영 철학은 사회공헌에도 반영되어 있다. 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업계 최초로 사회공헌 전담부서를 신설한 CJ는 2005년 체계적 활동을 위해 나눔재단을 설립했다. 이재현 회장이 직접 이름을 지은 ‘CJ도너스캠프’는 국내 최초 온라인 기부 플랫폼으로, 기부 내역과 사용처를 투명하게 공개하며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만들어 기업 사회공헌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CJ나눔재단은 ‘CJ도너스캠프’를 중심으로 CJ그룹의 문화 산업 전문성과 인프라를 활용한 문화사회공헌 활동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전국 4000여 개 지역아동센터가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면, 기부자가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을 선택해 후원하는 방식이다. 여기에 CJ그룹이 동일 금액을 매칭하는 1:1 매칭펀드를 도입해 나눔의 효과를 두 배로 확대하고 있다. 20년간 1만 9000여 건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아동과 청소년에게 맞춤형 문화 교육과 자립 지원의 기회를 제공해왔다.
주요 사업으로는 2013년 시작된 ‘창의학교’를 계승한 ‘CJ도너스캠프 문화동아리’가 있다. 이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의 문화 창작 및 체험을 지원하며, 지금까지 약 1500개 동아리가 1700여 명의 전문가와 함께 활동해왔다. 또한 CJ그룹 내 계열사와 협력해 청년 자립을 돕는 ‘CJ도너스캠프 아카데미’도 인기가 높다. 이 아카데미는 취업 취약계층 청년에게 직업교육을 제공하고, 교육 이수자들에게 CJ 계열사 및 관련 업계 취업 기회를 연계한다. 지난 8년간 773명이 수료했으며, 이 중 85%가 취업에 성공했다.
이 밖에도 ‘CJ도너스캠프 문화제안서’, 다문화 인식 개선 교육인 ‘문화다양성 교육’, 예체능과 학업 분야 인재를 지원하는 ‘CJ도너스캠프 장학’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아동·청소년이 공평한 기회를 통해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CJ사회공헌추진단 민희경 단장은 “20년간 재단 철학에 공감하고 동참해 준 기부자, 임직원, 지역아동센터 선생님 덕분에 오늘의 성과를 이룰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미래 인재 육성을 위한 진정성 있는 문화사회공헌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